병원정보시스템 (Hospital Information System, HIS)
의료정보 (Medical Information)
- 환자 진료, 의학연구, 의학 교육, 의료 경영, 보건복지, 각종 의료 서비스 등 과 관련된 각종 정보
의료정보시스템 (Medical Information System)
- 의료정보에 관련된 모든 종류의 시스템
- 즉, 의료정보를 수집, 가공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모든 종류의 정보 시 스템을 포괄적으로 의미
병원정보시스템 (Hospital Information System)
- 병원의 업무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의료정보시스템
- 진료, 진료 지원, 원무/행정, 경영/관리 정보를 적절하게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위시스템들로 구성
병원정보시스템(HIS) 구축 목적과 기대 효과
진료측면
- 처방의 정확성, 신속성, 진료의 질 향상
- 진료 데이터의 효율적인 전달과 활용으로 각종 관련 업무의 효율성
- 진료 종사자 업무 부담 경감
- 환자 대기시간 등 서비스 향상
행정업무 및 경영지원 측면
- 작업 단순화 및 자료 누락, 계산 착오 등의 오류 경감
- 업무량, 업무 중복 감소 및 효율화, 업무의 신속/정확성
- 원가 분석을 통한 의사결정 지원. 행정업무 및 경영지원 측면
자원 관리 측면
- 인적, 물적 자원의 흐름의 신속 정확한 파악, 효율적인 재고관리
- 병상이용율 증가, 환자 대기시간 단축에 의한 환자 수 증가
- 인건비 절감 등 경제적 효과 자원 관리 측면
교육•연구 측면
- 임상자료 전산화 => 자료의 질 및 접근성, 활용성 향상
병원정보시스템의 기능적 구성
- 핵심 시스템 (core system) – 환자 스케줄링, 입원/퇴원/전과
- 관리 및 재무 시스템 (business and financial system) – 재무와 회계 관리
- 커뮤니케이션 및 네트워킹 시스템 (communication and networking) – 구성요소들 간의 통합, 진료실/병동~진료 지원 부서간 소통
- 부서 관리 시스템 (departmental management system) – 병원 각 부서에서 필요한 정보 지원
- 의료문서화 시스템 (medical document system) – 임상정보 수집, 조직화, 저장, 제시하는 표준 의무기록 기능 수행
- 임상지원 시스템 (medical support system) – 임상자료 해석을 돕고, 모니터링 및 의사결정을 지원
통합 병원정보시스템(Integrated HIS)의 구조도
병원정보시스템(HIS) 구성 예시
- OCS: Order Communicating System
- HIS: Hospital Information System
- ERP: Enterprise resource planning
- PACS: PictureAchieving & Communication System
- DW: DataWarehouse
- DR: Disaster Recovery System
병원정보시스템(HIS)의 일반적 구성
OCS(처방 전달 시스템)
- 진료: 외래, 병동, 응급실
- 진료지원: 간호(NIS), 약(PIS), 임상병리(LIS), 방사선(RIS), 의무기록(MR), 급식/의료소모품 관리, 수술실 관리 등
- 원무행정: 외래, 입원, 보험심사
EMR(전자 의무 기록)
PACS(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)
처방전달시스템 (Order Communication System, OCS)
의사지시정보 (order)와 그 지시를 수행한 결과를 병원내 부서에 연결시켜주는 정보시스템
처방전달시스템(OCS)의 기능적 구성
- 진료 시스템: 외래/병동/응급실의 처방/간호 (예: 병동처방, 병동간호)
- 진료지원 시스템: 약품 관리 시스템, 임상병리(진단검사의학) 관리 시스템, 방사선(영상의학) 관리 시스템, 의무기록 관리 시스템, 급식 관리 시스템, 의료 소모품 관리 시스템, 수술실 관리 시스템
- 원무행정 시스템: 환자등록 관리(외래, 입/퇴원, 응급환자 관리), 진료비 계산/수납(외래/입원 진료비, 미수 관리), 보험청구 관리 (심사, 청구, 미수 관리, 통계업무)
처방전달시스템(OCS) 주요 기능
- 향상된 처방 입력 (Enhanced Order Entry)
- 임상의사결정지원 (Clinical Decision Support)
- 검사결과 조회 (Investigation Result Reporting)
- 임상 알림 시스템 (Clinical Messaging System)
- 환자 안내 시스템 (Patient Guide System)
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(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, CDSS)
(특정 환자에게)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시점에서 임상의사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된 컴퓨터시스템
- Knowledge based CDSS
- Non-knowledge based CDSS: Artificial Neural Network, General Algorithms
처방전달시스템(OCS)의 도입 효과
- 처방업무 및 병원 전반의 업무 편의성과 효율성 증가
- 환자의 진료 대기시간 획기적 단축
- 조제 대기시간 단축
- 환자의 편의성과 접근성 증가 (의료 서비스 향상 효과)
- 병원 재정에 이바지
- 이후의 의료정보시스템(EMR, 영상저장전송시스템 등) 도입에 적극적인 동기 부여 및 의료정보 발전의 토대 마련
전자의무기록 (Electronic Medical Records, EMR)
진료과정에서 발생되는 모든 환자의 진료 관련 정보를 기록, 저장, 조회 및 보고하는 진료 정보시스템
- 일차적으로 환자 개개인의 진료 (기록 저장, 소통, 의학적 결정 도구)
- 의학 연구 수행 (임상 경험과 의학 지식 축적의 보고)
- 법적, 행정적, 재정적 자료의 기록
- EMR은 종이차트의 전자화된 형태로서 병원정보시스템의 일부
전자의무기록(EMR)의 도입의 기대효과
1. 의무기록의 접근성 향상(장소, 시간)
-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자료를 찾을 수 있음
- 병원내 모든 의료진이 동일한 자료를 공유
- 필요한 부분 정보를 빨리 찾을 수 있음
- 다양한 형태로의 데이터 검색이 가능
2. 의무 기록의 Quality 향상(표준화, 가독성)
- 자료의 표준화로 이용자가 이해하기 쉬움
- 입력 에러의 방지 및 필수 항목의 기록을 유도하여 진료정보의 질 향상
3. 임상 활동에서의 지원
- 연구 지원, 연구의 질 향상
- QI 활동이 활성화되고 지속적인 관찰 용이
- 임상연구시 의무기록 검토를 용이
- 진료에 관련된 다양한 통계 추출 가능 (CRM 등)
4. 의무 기록 관리의 효율화(Chartless)
- 의무기록 대출, 배송 등의 업무 개선
- 종이차트와 달리 분실될 위험이 없음
- 차트 보관을 위한 물리적인 공간이 최소화
EMR 시스템의 발전단계
- 1단계: 의무기록 자동화 (Automated Medical Record, AMR)
- 2단계: 의무기록 전자보관 (Computerized Medical Record, CMR)
- 3단계: 전자의무기록 (Electronic Medical Record, EMR) : 현재
- 4단계: 전자환자기록 (Electronic Patient Record, EPR; PHR)
- 환자 중심 기록 + 글로벌 의료정보 네트워크 (+ 표준 전송 프로토콜)
- 5단계: 전자건강기록 (Electronic Health Record, EHR)
전자의무기록(EMR) 시스템의 기능적 구조
- 용어 및 코드관리 – ICD, SNOMED-CT, CPT, ATC,…
- 서식관리 – 진료과별 서식, 사용자 서식 등
- 입력지원 – 상용구, 특수문자, 그림 등 입력 지원
- 이미지 관리 – 스캔된 과거 기록, 외부 자료, 동의서 등 관리
- 장비 인터페이스 – EMR과 의료장비 간 자료 연동
- 데이터 웨어하우스 – 효율적 데이터 관리, 의학연구 등 2차 활용 지원
- 보안관리 – 의료정보 보안, 시스템 장애 대비
- 모바일 연동 – Point of Care
- 외부 시스템 연동 – 의료정보 교환 표준 프로토콜(HL7, DICOM)
영상저장전송시스템 (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, PACS)
디지털 상태로 의료영상을 획득, 저장, 전송하고 의료진들이 컴퓨 터를 이용해 이를 조회, 검색, 판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포괄적인 디지털 영상관리 및 전송시스템
영상저장전송시스템(PACS)의 기대효과
- 소모성 비용(필름과 현상정착액) 및 인건비 절감
- 필름 보관을 위한 공간 및 관리 비용 절약
- 재촬영 감소로 인한 비용 절감, 환자의 불만 요인 감소
- 촬영 당일 진료 가능
- 의료 영상의 접근성 향상 (언제 어디서든지 조회 가능)
- 의료 영상의 질적 향상 및 신속 정확한 판독 가능
* DICOM (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) : 의료용 기기에서 디지털 영상과 통신에 사용되는 표준
병원 경영 정보시스템 (Hospital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, HMIS)
- 진료업무를 지원하고 병원 내 각종 경영활동에 필요한 정보 제 공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
- 약품과 소모품의 재고량을 신속히 파악, 필요한 인력을 합리적 으로 결정
- 진료비 산정, 청구 오류 최소화
- 장기발전계획 수립 등의 의사결정
- 자원이용의 효율성, 합리적이고 적중률 높은 의사결정
- 실무자와 경영진간 의사소통이 가능, 업무 조정과 협력이 용이
- 개인과 부서가 보유한 지식과 정보 공유와 활용 활성화
- 업무 효율화, 생산성 향상
병원경영정보시스템 도입의 기대 효과
- 자원이용의 효율성 향상
- 합리적이고 적중률 높은 의사결정 가능
- 실무자와 경영진 간의 의사소통 향상
- 개인과 부서가 보유한 지식과 정보의 공유와 활용
- 자료 작성 등과 관련된 업무량 감소 및 생산성 향상
- 업무절차와 흐름을 분석, 비능률적 요소 개선하여 업무 재구성
데이터웨어하우스 (Data Warehouse, DW)
연구자가 직접 접근하여, 원하는 대로 쉽고 빠르게 추출하여 각종 필요한 정보 생성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는데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
- 병원 내에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(별도로 관리되어 오던) 방대한 양의 다양한 데이터를 한 곳에 통합하고, 연구 목적에 맞게 추출하기 좋은 형태와 구조로 가공 & 저장
- Enterprise DW (EDW) – 각종 원무, 행정, 고객 관련 자료 관리, 분석 / 경영 정보 지원
- Clinical Research DW (CDW, CRDW) – 연구용 임상 데이터 관리
데이터 웨어하우스의 필요성
- 병원 내 분산된 데이터의 통합
- 다양한 진료 및 연구 지원
- 병원경영정보의 정확한 파악
- 신속 정확한 의사결정 지원
임상 데이터웨어하우스 Clinical (Research) Data Warehouse (CDW, CRDW)
OCS/EMR 도입 효과
- 기록과 처방을 정확하게 기록하고 공유(전달)할 수 있음. (잠재적 오류를 줄임으로서 환자 안전에 기여)
- 방대한 진료자료를 효율적으로 보관하고 빠르게 열람
- 원내에서는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, 여러 의료진이 동시에 열람 & 협업 가능(접근성)
- 진료 업무의 효율성, 정보 활용성, 환자 안전성 증가
- 병원차원의 관리의 효율성 및 비용 절감
- 2차 활용 - 연구 등을 위해 재사용 용이
728x90
'Bioinforma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분석 전문가 심화과정 1주차 후기 (0) | 2021.10.12 |
---|---|
정보의학개론 - 임상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(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, CDSS) (0) | 2021.10.04 |
정보의학개론 - 보건 의료 용어와 표준 (0) | 2021.09.09 |
정보의학개론 - 의학 자료의 특성 (0) | 2021.09.08 |
바이오 마커 후보 유전자 사후분석(Gene Ontolohy) (0) | 2021.08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