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pplication Layer(124)
- The goal of this Lecture
- Transport-layer service model
- Client-Server 패러다임
- Peer-to-peer 패러다임
- HTTP, SMTP, DNS, CDNS
- Socket API
Principles of network application
- Creating a network app
- 서로 다른 end system에서 작동하며 network를 거쳐 communicate할 수 있는 network app
- network-core devices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만들 필요는 없음
- network-core devices는 유저 applicaion을 run하지 않음
- End systmes에 있는 applicaion은 빠른 app 개발과 전파 가능
- Client-Server 구조
- Server: 항상 켜져 있는 호스트, 고정 IP주소, 주로 데이터 센터로 확장
- Client: 서버와 통신, 클라이언트간에 직접 통신 X, 유동 IP 가질 수 있음, 항상 연결되어 있진 않고 간헐적으로 통신할 수 있음
- HTTP, IMAP, FTP
- P2P 구조
- 항상 켜져 있는 서버가 없음
- 임의의 end system끼리 직접 통신함
- peers끼리 각각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함.
- Self Scalability - 새로운 peers는 새로운 service capacity과 service demands를 가져옴
- Peers는 간헐적으로 연결되고 IP주소가 변경됨 → 관리가 어려움
- 단점: 보안/퀄리티는 떨어지고 cost는 증가(각 host가 통신할 모든 host 주소를 알고 있어야 함)
- Processes communicating
- Process: 호스트 안에서 돌고 있는 프로그램
- Host 내에서 두 프로세스는 OS에서 정의한 IPC(Inter-Process-Communication)으로 통신
- 다른 host 간의 프로세스는 messages를 교환하여 통신
- Client Process: 통신을 시작하려는 프로세스
- Server Process: 접속을 기다리는 프로세스(listening)
- P2P 구조의 applicaion들은 client & Server process 모두 가짐
- Socket
- 프로세스는 소켓을 통해 message를 송수신
- 프로세스는 집, 소켓은 출입구에 비유
- Sending process는 수신 socket의 transport infrastructure에 의존
- 두 개의 소켓이 연관되어 있음(송/수신)
- Addressing processes
- message를 받기 위해서는 process는 반드시 identifier를 가지고 있어야 함
- Host device는 32-비트의 유일한 IP주소를 가지고 있음
- Identifier는 특정 process와 연관된 IP주소와 포트 번호를 모두 포함함
- Application-layer 프로토콜
- 정의하는 것
- Message type(request, response 등)
- Message syntax(어떤 filed가 있고 어떻게 구분되는가)
- Message semantics(각 filed가 어떤 의미안가)
- 언제 어떻게 프로세스가 message를 주고받을지
- Open protocol:
- RFC에 정의되어 있음.
- 모두가 protocol definition에 접근할 수 있음
- Interoperability(상호 운용성)
- HTTP, SMTP
- Proprietary protocol:
- Skype, Zoom
- 정의하는 것
- Application이 필요한 transport service
- Data integrity
- Web transaction이나 File transfer는 100% reliable data transfer 필요
- Audio와 같은 앱들은 일부 loss는 수용 가능
- Timing
- 인터넷 전화나 실시간 게임같은 경우는 low delay가 필요(to be effective)
- Throughput
- 멀티미디어 같은 앱의 경우 최소한의 throughput가 필요(to be effective)
- Elastic apps의 경우 큰 상관 없음
- Security
- Encryption, Data integrity 등
- Data integrity
- Internet transport protocol services
- TCP
- 신뢰 가능한 프로토콜
- Flow Control 가능: receiver가 받을 수 있는 데이터보다 더 많은 양을 보내지 않음
- Congestion control: 네트워크 내에서 처리가능한 양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보내지 않음(throttle sender when network overloaded)
- Connection-oriented: client-server 사이에서 무조건 Connection setup이 필요함
- 제공하지 않는 것: timing, 최소 throughput 보장, 보안
- UDP
- 신뢰 불가능한 프로토콜
- 제공하지 않는 것: 신뢰도, flow control, congestion control, timing , throughput 보장, security, connection setup
- 사용하는 이유: 복잡한 기능이 필요 없는 app의 경우 굳이 TCP를 안써도 됨. Performance 이슈(Google, Youtube), Freedom of implementation
- TCP
- Securing TCP
- Vanilla TCP & UDP sockets:
- 암호화 없음
- cleartext PW가 노출됨
- TLS(Transport Layer Security)
- 암호화된 TCP연결 제공
- Data integrity
- End-point authentication
- Vanilla TCP & UDP sockets:
Web and HTTP
- HTTP Overview(Hyper Text Transport Protocol)
- Web’s application-layer protocol
- 웹 clients가 어떻게 web server로 페이지를 요청하고 web serve가 web client로 어떻게 page를 보내는지에 대해 정의
- Client: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page를 요청하고 page를 받아 web object를 보여줌
- Server: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요청받은 page를 client에게 보내는 역할
- HTTP uses TCP
- Connection oriented로 loss 없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함
- Port 80번 사용
- HTTP는 Stateless
- 서버는 이전 client 요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지 않음
- Server doesn’t manage the status
- state를 유지하는 프로토콜은 복잡함
- Web’s application-layer protocol
- 두 종류의 HTTP연결
- Non-Persistent HTTP
- 하나의 conncection에 대해 하나의 object만 전송됨(여러 object → 여러 Connection 병렬로 연결) ⇒ 전송 이후 TCP 연결이 종료됨
- HTTP/1.0 사용
- Connection 수가 늘어나므로 server의 부담이 커짐
- Persistent HTTP
- 하나의 TCP 연결에서 다수의 object가 오갈 수 있음
- Server는 계속해서 연결을 유지할 수 잇음
- HTTP/1.1에서 default로 persistent connection을 사용함
- Non-Persistent HTTP
- Non-Persistent HTTP: Response Time
- RTT: 작은 패킷이 clinet와 server 사이를 왕복하는 시간
- HTTP response time(Object 마다):
- TCP 연결 시작: 1 RTT
- HTTP Request: 1 RTT & Time transmission 시작
- Object/Time transmission
- Object 마다 2 RTT 필요
- 각 TCP 연결마다의 OS overhead
- 브라우저는 종종 referenced objects를 가져오기 위해 병렬 TCP 연결을 함
- Persistent HTTP(HTTP1.1):
- 서버가 Response보낸 이후에도 Connection을 유지시킴
- 후속 HTTP message는 open connection을 통해 보내짐
- Client는 referenced object를 보자마자 requests를 보냄
- 모든 referenced objects에 대해 RTT 1밖에 안필요함(reponse time 반으로 줄임)
- HTTP Request message
- ASCII 포맷
- HTTP REST
- POST(등록)
- client에서 server로 information을 보냄
- 종종 form input 포함
- user input은 entity body에 담겨져 보내짐
- GET(조회)
- 제일 많이 씀
- user data를 URL filed에 넣어서 보냄(? 뒤에)
- sending data to server
- HEAD
- 헤더만 request함
- PUT(수정)
- 새로운 file을 서버에 업로드
- 완전하게 수정할 수 있음
- POST(등록)
- HTTP Response message
- HTTP Response status code
- 200 OK
- 301 Moved Permanently
- 400 Bad requuest(서버가 이해 못함)
- 404 Non found(document를 서버에서 찾을 수 없음)
- 505 HTTP Version Not supported
- User-server State: Cookies
- 쿠키는 transaction 사이에 some state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
- 쿠키는 과거의 event에 따라 다르게 행동하게 해주기 위해서 사용됨
- HTTP는 stateless이기 때문에 client에서 오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보낸 뒤에 바로 초기화가 된다. ⇒ client에 대한 정보를 알 수가 없다.
- Server가 새로운 유저를 파악했을 때 reposnse 데이터에 Set-Cookie header(해당 user를 구분하기 위한 ID)를 설정하여 보냄
- Client는 Set-Cookie 헤더의 정보를 디스크에 저장하고 동일한 서버에 대한 요청 시 사용
- Privacy 문제 우려 → 개인 컴퓨터에서만 사용할 것
- 서버에서 HTTP reponse message에 Set-cookie header 설정해서 보냄
- Cookie header line in next HTTP request message
- Cookie file kept on user’s host, managed by user’s browser
- 웹사이트의 백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(cookie에 대한 entry)
- 쿠키카 쓰이는 곳: Authorization, 쇼핑카트, 추천, user session state
- Web caches
- Goal: Satisfy client requests without involving origin server
- user configures browser to point to a Web cache
- 브라우저는 모든 HTTP 요청을 cache로 보냄
- object가 cache에 있다면 바로 object를 client에게 반환
- 없다면 cache에서 server로 요청을 날리고 받아온 뒤 다시 client로 반환
- Client와 Server 양쪽의 역할을 함
- Reponse header에 caching 정보를 담을 수 있음
- Cache 쓰는 이유
- Response time 감소(client에는 cache가 더 가까움)
- 트래픽 감소
- 인터넷은 cache가 매우 많음. Content 제공자들에게 content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함
- Conditional GET
- 문제: server의 데이터가 변함으로 인해 Cache에 있는 데이터와 다를 때→ cache에 있는 데이터가 구버전이라면 server에서 받아와서 보내야 함
- 목표: Cache가 최신의 버전 → object를 보내지 말 것
- 해결법: If-modified-since 헤더 조건에 따라 cache의 값을 받을 것인지 server에서 값을 새롭게 받을 것인지 결정을 한다.→ server에 last modified date(날짜가 기준임)가 있게 되고 그 날짜보다 If-modified-since날짜가 더 옛날이라면(바뀌었다면) cache server의 데이터를 바꾼 후 보낸다.
→ 바뀌지 않았으면 304 Not Modified
-
→ 바뀌었다면 200 OK
- HTTP
- 주요 목표: multi-object HTTP requests의 delay를 줄이는 것
- HTTP1.1: single TCP연결에서 multiple, pipelined GETs 개념을 도입
- server는 FIFO 방식으로 GET requests에 응답함
- FIFO(FCFS)로는 small object가 large objects 뒤에서 한참 기다려야함⇒ HOL(Head Of Line Blocking)
Loss recovery(손실된 TCP 세그먼트 재전송)로 인해객체 전송이 중단됨
- HTTP2: server에서 client에게 objects를 보낼 때 유동성을 강화
- methods, status code, 대부분 헤더 필드는 안변함
- 요청된 objects의 전송 순서는 clienct-spcified object 우선순위에 따름(FCFS x)
- Client가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음
- 요청하지 않은 object 또한 보낼 수 있음
- base HTML + 내부 object들
- Divide objects into frames, schedule frames → HOL blocking 완화
- HTTP/2 to HTTP/3
- 단일 TCP 연결에서 HTTP/2가 의미하는 것
- 패킷 손실 복구는 여전히 모든 개체 전송을 지연시킴
- HTTP 1.1에서와 같이 브라우저는 지연을 줄이고 전체 처리량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개의 병렬 TCP연결을 할 수 있음
- Vanilla TCP 연결에선 no security
- HTTP/3
- Security 추가
- UDP 상에서 object 당 error- and congestion control
- 단일 TCP 연결에서 HTTP/2가 의미하는 것
DNS(Domain Name System)
- DNS
- Host name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디렉터리 서비스
- DNS 서버들이 계층 구조로 구현된 분산 Database → 확장성, 유지가 간편
- Host가 분산 DB로 질의하여 host name에서 IP 주소를 획득하는 APP 계층 프로토콜
- core internet function, implemented as app-layer protocol
- 코어는 단순하게, 엣지는 복잡하게(성능 향상을 위해)
- DNS Service
- Host aliasing: 간단한 별칭 host name을 복잡한 정식 host name으로 변환
- mail server aliasing
- 부하 분산: 여러 IP 주소들이 하나의 정식 host name과 연관되는 replicated web server
- 중복 웹서버에서는 서버들이 부하 분산
- 단일 중앙 집중 방식 DNS를 사용하지 않은 이유
- 서버 고장시 전체가 작동하지 않음
- Traffic volume
- 유지 관리
- 먼 거리의 중앙 집중 데이터베이스
- DNS: a distributed hierarchical database
- Root DNS server:
- namer server의 contact-of-last-reosrt(최후의 연락 수단, 아무 것도 모를 때 접근한느 최상위 서버), cannot reslove name
- Server farm 형식으로 총 13개의 root server가 전세계에 존재함(각 서버는 복제된 서버의 cluster)
- 각 서버는 수 차례 복제되어 cluster 형식으로 존재
- ICANN(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)가 관리함
- TLD(Top-Level Domain) Server
- .com, .org, .net과 같은 top-levle 도메인
- 국가 도메인 .kr, .cn
- Authoritative DNS Server
- 조직이나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함
- 각 조직의 DNS 서버로 각각의 조직에 맞는 IP를 mapping해주는 역할
- Local DNS Name Server
- host가 DNS 쿼리를 날리면 그 쿼리는 일단 local DNS server에 보내짐
- local cache에 있으면 반환하고 없으면 계층적 DNS 구조로 쿼리를 보냄
- 계층적 구조에 속하지 않음
- 각각의 ISP는 local DNS name server를 가지고 있음
- DNS name resolution
- Iterated query
- 연결된 서버가 새로 연결할 서버의 이름을 알려줌
- Recursive query
- 연결된 name server로 name resolution 책임을 넘김
- 상위 계층 DNS server에 많은 부담이 가게 됨
- Iterated query
- Caching and update DNS information
- name server가 mapping하는 것을 학습하면 캐싱을 하고 곧바로 cached된 mapping으로 응답함
- cache를 사용하면 reponse time을 향상시킴
- TTL(Time to live)이 지나면 cache는 timeout(사라짐)
- Local name server에 보통 TLD server가 캐시되어 있음
- 캐시 entries는 out-of-date가 될 수 도 있음 ⇒ 기존 TTL이 expire해야 확인 가능
- ‘best-effort name-to-address translation’ (보장 x)
- DNS Records
- Distributed database storing resource records(RR)
- RR format: (name, value, type, ttl)
Video streaming and content distribution networks
- Video Streaming and CDNs: context
- 요즘 Internet 대역폭의 대부분은 비디오에 의해 사용됨
- Netflix, Youtube, Amazon Prime: residential ISP traffic 80%
- Challenge: Heterogeneity(이질성)
- Different users have different capabilities
- Solution: 분산형 앱-level Infrastructure
- Multimedia: Video
- VIdeo: 일정한 속도로 보여지는 이미지의 sequence
- 많은 pixel들을 계속 표현하기에는 데이터가 많이 소모 → 필요한 부분만 새로이 전송
- 시공간적으로 근처의 bits 확인 → Redundancy(중복성) 이용
- Encoding 방식
- CBR(Constant Bit Rate): encoding rate가 고정
- VBR(Variable Bit Rate): encoding rate가 가변
- MPEG4(제일 흔하게 사용, 64kbps-12Mbps)
- Streaming multimedia: challenges
- Continuous playout constraint: client가 비디오를 시청하는 동안 playout timing이 original timing과 맞아야함
- 하지만 network delay는 network congestion level에 따라 가변적이기 때문에(jitter), client-side buffer를 두어 continuous playout constraint를 match한다.
- Client-side buffering and playout delay: network-added delay에 대한 보상, delay jitter(jitter: delay의 변화량)
- Continuous playout constraint: client가 비디오를 시청하는 동안 playout timing이 original timing과 맞아야함
- Streaming multimedia: DASH
- Dynamic, Adaptive Streaming over HTTP
- Client가 bandwidth를 측정하고 chunk 파일을 요구하는 방식, client에게 부담을 줌
- Server
- video 파일을 chunk로 나누어 저장함
- 각각의 chunk는 서로 다른 rate로 encode되어 저장(한 chunk에 여러 종류의 rate)
- files replicated(모방) in various CDN nodes
- manifest file: chunks에 대한 URL 제공
- 파일 각각의 encoding rate와 url이 기록되어 있음
- Client
- Manifest file을 가장 먼저 요청함
- 지속적으로 server-client 사이의 bandwidth 측정
- manifest 파일을 보고 해당 url로 chunk를 요청함
- 현재 주어진 bandwidth를 보고 지속가능한 최대의 coding rate를 선택
- 시간에 따라 다른 coding rate의 chunk file을 받을 수 있음(각 시간마다 적절한 bandwidth에 따름)
- ‘intelligence’ at client: 클라이언트가 결정함
- 언제 chunk를 요청할지
- 어떤 encoding rate를 요청할지
- 어디에 chunk를 요청할지
- Streaming video = encoding + DASH + playout buffering
- CDN(Content Distribution Networks): 동시에 여러 명의 유저가 비디오를 요청 시 어떻게 대응을 할 것인가에 대한 해결책
- Enter deep: 서버를 세계 곳곳에 있는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형식
- 유저와 가까움
- 수많은 작은 서버들을 연결시키는 방식
- Bring home: 적은 수의 large clusters를 ISP 근처에 세우고 네트워크에 접속시킴
- 구독자가 content를 요청하면 service provider는 manifest를 반환함
- manifest를 이용하여 client는 가능한 가장 빠른 rate로 content를 검색함
- 가장 가까운 곳에서 해당 파일을 받지만, 너무 많은 traffic이 있다면 그 다음으로 가장 가까운 곳에 요청을 함
- network path가 혼잡하면 다른 rate나 copy를 선택할 수도 있음
- Enter deep: 서버를 세계 곳곳에 있는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형식
- → 지역적으로 분산된 서버에 여러 개의 복사된 비디오들을 저장해 두는 것
- OTT(Over The Top): 인터넷을 통해 각종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
- OTT challenges: coping with a congested Internet from the ‘edge’
- 어떤 CDN node에 어떤 content를 둘지
- 어떤 CDN node에서 content를 어떤 rate로 검색할지
- OTT challenges: coping with a congested Internet from the ‘edge’
Socket Programming with UDP and TCP
- Socket programming
- Socket: Application 프로세스와 end-end-transport protocol사이의 door
- Two socket types
- UDP: unreliable datagram
- TCP: reliable, byte stream-oriented
- Socket Programming with UDP
- UDP: client와 server 사이에 no connection
- no handshaking
- 송신자가 수신자의 정보를 명시해줘야 함
- 수신자는 받은 패킷에서 송신자의 IP주소와 포트 넘버를 추출해냄
- UDP: 전송된 데이터가 없어지거나 순서가 어긋날 수 있음Applicaion viewpoint:
- UDP는 client-server process 사이에 datagram에 대한 unreliable transfer를 제공함
- UDP: client와 server 사이에 no connection
- Socket Programming with TCP
- Client는 반드시 server와 contact해야 함
- Server process는 반드시 먼저 동작하고 있어야 함
- Server는 반드시 socket을 미리 만들어 놨어야 함
- Client contacts server by:
- TCP socket 생성, IP 주소와 포트 번호 명시
- client가 socket을 만들면 client TCP가 server TCP와 연결을 수행
- Client와 연결되면 server TCP는 새로운 socket을 생성함
- 그 특정한 client와 통신하기 위해 해당 server process에 생성하는 것임
- Server가 다수의 clients와 통신할 수 있게 해줌
- source port number는 client를 구분할 수 있게 해줌
- Application viewpoint
- TCP는 클-섭 사이에 reliable하고 in-order byte-stream transfer(pipe) 제공
- Client는 반드시 server와 contact해야 함
728x90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컴퓨터 네트워크 개론 (3) - Transport Layer 1/2 (0) | 2022.04.22 |
---|---|
컴퓨터 네트워크 개론 (1) - Internet Overview (0) | 2022.04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