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ioinformatics

정보의학개론 - 보건 의료 용어와 표준

JOFTWARE 2021. 9. 9. 16:11

보건의료용어체계

환자의 상태와 보건의료인의 활동을 서술하는 데 필요한 용어 체계
  • 인터페이스 용어(어휘, Vocabulary)
  • 집합 용어(분류 체계, Classification)
  • 참조 용어

용어체계: 보건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세트

분류체계: 정해진 규칙에 따라 개체를 배정하는 범주 체계

보건의료 용어체계의 종류

• ICD • SNOMED CT • LOINC • CPT • CDT • DSM • MeSH • UMLS • DRG • RxNorm • 간호용어체계

 

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: ICD

WHO에서 관리하는 국제 질병 및 사인 분류체계

ICD-10 (1990): 100개 이상 국가에서 사용

ICD-11 (2018): 개선된 사용성, 보다 상세한 임상 내용 반영

 

 

  • Organ System 단위로 정렬
  •  분류+명칭코드로 구성

-> 보건의료 용어체계와 연계되지 않음

-> 활용에 제한점, 낮은 효용성

 

 

 

 

 

 

SNOMED CT

The Systematized Nomenclature of MEDicine Clinical Terms (SNOMED-CT)

전자건강기록의 상호운용성을 촉진하는 표준용어체계

미국병리학회에서 개발되어 발전

의료현장에 존재하는 방대한 개념과 의료 제공과정 및 환자 기록 작성에 필요한 개념들을 포함

“The most comprehensive clinical terminology in use around the world”
  • 33만 개의 개념, 19개 계층
  • 120만 개의 영어로 구성된 동의어와 서술
  • 90만 개의 의미적 관계
  • 언어: 영어, 스페인어, 독일어

  • 개념(Concepts)
  • 기술(Descriptions)
    • Preferred Term
    • Fully Specified Name
    • Synonyms
  • 관계(Relationships)
    • IS-A(Hierarchies)
    • 속성(Attribute)

 

 

 

 

LOINC

  • 1994년 미국 비영리 연구소에서 검사/진료 관련 자료를 전자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
  • 검사결과 및 임상관찰 결과를 보고하기 위해 개발된 범용코드
  • 임상 현장에서 수행되는 각종 검사, 실험, 관찰 결과를 저장 혹은 전달할 때 사용

 

MeSH(Medical Subject Headings)

  • 생명과학분야 논문과 서지정보 색인을 위한 통제용어체계
  • 문헌을 검색하는 어휘집 (thesaurus)으로 사용되기도 함
  • 미국국립의학도서관에서 관리, 매년 갱신
  • PubMed에서 무료로 검색, 다운로드 가능
  • 주제어 (동의어/유사어) -트리코드-서술자

 

국내 보건의료용어 활용 현황

  • LexCare Suite
    • SNOMED-CT, KOSTOM (한국보건의료정보표준용어), ICD-10, ICD9CM, KCD (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), ICNP
  • CiDD – 임상용어사전, 인터페이스 용어체계
  • KCD – ICD를 우리나라에 맞게 보완

 

의학 자료의 표준

사물의 정도나 성격 따위를 알기 위한 근거나 기준

필요성 및 기대효과

정보기술 발달 -> 시스템간의 이식성(portability), 확장성(scalability), 상호운용성(interoperability)의 문제

정보 교환 필요성 증대

다양한 이해관계자 -> 효율성, 안전, 진료의 질향상, 산업경쟁력

 

표준화 현황 및 기구

표준화: 의료 용어, 서식에서 보안까지 다양한 영역

과거에는 산발적, 독립적 개발 => 현재는 국제 표준, 권고안

표준/표준화 기구: ISO/TC215, DICOM, IEEE, CEN/TC251, HL7, ASTM

 

표준화 분류 및 과정

사내표준 < 단체표준 < 지역표준 < 국가표준 < 국제표준

표준화 추진 방법

  • 특수목적형 표준(ad hoc standard)
  • 산업형 표준(de facto standard)
  • 정부주도형 표준(government-mandate standard)
  • 사용자 동의형 표준(consensus standard)

과정: 기반연구 > 제정 > 구현 > 시험 > 이용

 

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: ISO

1946년 25개국의 참여로 시작, 1947년 설립된 대표적인 국제 표준화 기구

표준 및 관련활동의 세계적 조화를 촉진, 국제규격을 개발/발행, 회원기관과 기술위원회 업무간 정보교환 주선과 관련 국제기구와 협력을 도모

  • 총 164개국 (우리나라 1963년 가입)
  • 총 22,736 건의 표준 발간
  • 산업, 기술, 식품, 농업, 의료 등 산업 전반에 대한 표준

 

Technical Committees: ISO/TC215

ISO 산하 TC 중 보건의료정보 표준을 개발하는 위원회 (1998~)
  • 보건의료정보의 지역 내 및 세계적 공유 활성화
  • 보건의료정보산업 활성화 촉진

 

Healthcare Level 7: HL7

  • 미국 국가표준기구 (ANSI)의 공인된 비영리기관으로, 1987년에 설립
  • 진료정보의 교환, 통합, 교류, 검색과 진료지원, 건강서비스 관리, 제공, 평가의 지원을 목표로 하는 표준개발조직
  • HL7 (표준): 의료환경에서의 전자적 데이터 교환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
    • HL v2, v3
    • FHIR
    • Reference information model (RIM): 참조정보모델
    • Clinical data architecture (CDA): 임상데이터 구조

 

FHIR

  • 기존 표준의 단점 보완
  • 상호운용성
  • 쉽고 빠른 구현
  • 정보의 기본 단위 구분 명확
  • 유연성 보완
  • 맞춤화 표준 생성 보급 유도(profile 제공)

 

보건의료정보 표준의 종류

  • 용어표준
  • 데이터 교환 표준 (메시지 교환)
  • 문서교환표준(CDA, CCD, CCR)

 

용어 표준

  • ICD, SNOMED CT, LOINC, CPT, MeSH, UMLS, DRG, RxNorm, NANDA…
  • 표준 의학 용어 체계: 용어에 각각 인식 코드를 부여
  • 참조 용어 체계 혹은 용어 간 개념 관계를 정의하여 용어 간의 통합을 목적으로 함
  • 의학 개념 기반의 표준화된 통제임상용어가 개발됨

 

데이터 교환 표준

  • HLC
  • IEEE 11073 PHD
    • 건강 정보 프로파일의 전송 포멧
    • 개인용 원거리 의료기기와 매니저 간 정보교환
    • 공개적으로 정의된 독립적 표준
  • DICOM
    • 의료 디지털 영상과 부수적 의료 정보 전송을 위한 표준 영상 신호 프로토콜
    • 대부분의 의료영상정보시스템 장비기 채용

 

문서 교환 표준

HL7 CDA: 의료와 관련된 임상문서교환

HL7 CCD(Continuity of Care Document): 환자의 지속적인 진료를 위한 임상 데이터의 집합

ASTM CCR: 여러 의료기관에 분산된 진료 정보를 요약된 형태로 표현, 지속적인 건강관리/치료가 목적

 

보건의료정보 표준의 새로운 기대 효과

  • 안전/효율
  • 상호운용성/확장성
    • 의료데이터->건강데이터
    • 병원데이터->환경, 운동, 식이
  • 산업확장성(건강관리, Device, 정보, 통신)
  • 보안/법적정합성

 

요약

  • 보건의료영역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저장, 전달하기 위해 용어체계가 필요함
  • 목적과 용어의 분류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용어체계가 존재함
  • 상호운용성, 자료의 2차 활용하기 위해 표준화된 용어체계 사용이 필요함
  • 보건의료정보 영역에서 표준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증대
  • 표준화는 상호운용성 및 확장성 향상을 통해 의료 데이터를 보다 폭넓게 활용하기 위한 기반임
  • 보건의료용어 표준화를 위한 국제적, 국가적인 노력이 진행중임
728x90